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개념 정리 2
소음노출로 인한 청력 손실에 대한 내용?
1. 청력 손실은 4000Hz에서 크게 나타난다.
2. 정력 손실 정도는 노출되는 소음의 수준에 따라 증가한다.
3. 약한 소음은 노출 기간과 청력 손실간의 관계가 없다.
4. 강한 소음은 노출 기간에 따라 청력 손실이 증가한다.
단순 반복 작업에 의해 일어나는 건강 장애(CTDS)의 발생요인?
1. 과도한 힘의 요구
2. 부적합한 작업 자세
3. 장시간의 진동
양립성에 대한 설명?
운동 양립성 :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표시장치의 정보가 움직일 때 반응 결과가 인간의 기대와 같다.
공간 양립성 : 공간적 구성이 인간의 기대와 같다.
개념의 양립성 : 코드나 심볼의 의미가 인간이 갖고 있는 개념과 같다.
양립성
동작 합리화를 위한 물리적 조건?
1. 고유 진동을 이용한다.
2. 접촉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한다.
3. 대체로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4. 인체 표면에 가해지는 힘을 적게 한다.
인간-기계 시스템의 특징?
1. 수동시스템에서 동력원은 사람이다.
2. 기계시스템은 고도로 통합된 부품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기능을 수행한다.
3. 자동시스템에서 인간은 감시, 정비, 보전의 기능을 수행한다.
4. 자동시스템에서도 인간 요소를 고려해야한다.
실효온도(Effective Temperature)의 특징?
1. 실제로 감각되는 온도로 실감온도라고도 칭한다.
2. 온도, 습도, 공기 유동이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도 포함된 온도이다.
3. 상대습도 100%일 때 건구 온도에서 느끼는 것과 같은 온감이다.
자동 생산 시스템에서 세 가지 고장유형에 따라서 각각 다른 색의 램프가 점등이 되고 운전원은 색에 따라 각기 다른 조종 장치를 조작하도록 하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원이 램프를 보고 어떤 조종 장치를 조작해야할 지를 결정하는 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법칙은?
힉-하이만 법칙
※ 힉-하이만 법칙
사용자들이 결정을 내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주어진 선택지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
산업안전보건법 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하는 기계 기구 및 설비?
1. 금속 및 기타 광물의 용해로
2. 화학 설비
3. 건조 설비
4. 가스 집합 용접장치
5. 허가 대상, 관리 대상 유해물질
6. 분진 작업 관련 설비
수공구 설계의 기본 원리?
1. 정밀 작업을 요하는 손잡이의 직경 : 5~12mm
2. 손잡이의 단면을 원형으로 설계한다.
3. 일반적으로 손잡이의 길이는 95%tile 남성의 손 폭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4. 동력 공구의 손잡이는 두 손가락 이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한다.
부품에 고장이 있더라도 플레이너 공작기계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설계는?
Fail-Operational
※ 고장시를 대비한 설계 개념
- Fail-Operational : 부품 고장 시 추후 보수 시까지 안전 기능 유지
- Fail-Safe : 기계나 인간의 과오에도 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중, 삼중의 통제장치를 설치
- Fail-Passive : 부품 고장 시 더 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계 장치 정지
- Fail-Active : 부품 고장 시 경고가 울리고 이후 짧은 기간동안 운전
의도한 것은 올바른 것이었지만, 의도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나게 한 행위를 실행한 오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오동작/실수(Slip)
※ 오류의 종류
1. 오동작/실수(Slip)
- 상황 해석은 제대로 하였으나, 의도와는 다른 행동을 한 경우
2. 건망증/깜빡(Lapse)
- 기억 재생의 실패
- 계획 항목의 생략, 장소 및 의도의 상실
- 기억의 상실로 해야 할 행동을 하지 않은 경우
3. 착오(Mistake)
- 주의의 실패(다른 요인으로 인해 일어난 간섭, 생략, 역전, 타이핑 잘못, 순서 잘못 등)
- 동시 다발적으로 너무 많은 일을 할 때, 역량에 비해 복잡한 일을 할 때, 시간의 압박이 있을 때
- 상황에 대한 해석을 잘못하고 목표를 잘못 설정하여 행위하는 경우
- 규칙 기반의 오류
- 지식 기반의 오류
4. 위반(Violation)
- 의도를 가진 고의적 실수이며 규칙적, 상황적, 예외적 위반의 3가지로 분류한다.
FMEA에서 고장의 발생 확률을 β라 하고, β의 값이 0<β<0.1일 때 고장의 영향은 어떻게 분류되나?
가능한 손실로 분류된다.
※ 고장 영향 분류
- β=1 ; 실제의 손실
- 0.1<β<1 ; 예상되는 손실
- 0<β<0.1 ; 가능한 손실
- β=0 ; 영향 없음
광원으로부터의 직사휘광 처리 방법?
1.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수를 늘린다.
2. 광원을 시선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시킨다.
3. 휘광원 주위를 밝게해 광도비를 낮춘다.
4. 가리개나 갓, 차양 등을 사용한다.
Rasmussen은 행동을 세 가지로 분류했다. 그 분류는?
1. 숙련 기반 행동
2. 규칙 기반 행동
3. 지식 기반 행동
인간이 과오를 범하기 쉬운 상황?
1. 공동작업 상황 : 작업자와 함께 작업하므로 집중도가 저하된다.
2. 장시간 감시 : 장시간 감시를 수행할 경우 피로도로 인해 의식 수준이 낮아진다.
3. 다경로 의사결정 : 다양한 경로의 의사결정으로 인해 혼선이 발생한다.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Safety Assessment)에서 정량적 평가 항목?
취급물질, 화학설비의 용량, 온도, 압력, 조작
※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서 정성적 평가 항목?
입지조건, 공장 내의 배치, 소방설비, 공정기기, 수송, 저장, 원재료, 중간체, 제품
쾌적 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의 변화에서 신체의 조절 작용?
1. 피부 온도가 내려간다.
2. 직장 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3. 몸이 떨리고 소름이 돋는다.
4. 피부를 경유하는 혈액 순환량이 감소한다.
인간-기계시스템의 설계를 6단계로 구분하면?
1단계 :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 명세 결정
2단계 : 시스템 정의
3단계 : 기본 설계
4단계 : 인터페이스 설계
5단계 : 보조물 혹은 편의 수단의 설계
6단계 : 평가
욕조곡선에 대한 설명
욕조곡선
1. 초기고장기간
주로 표준 이하의 재료의 사용 및 불충분한 확인 작업 및 디버깅, 부적절한 설치에 의한 고장이 발생한다. 전수검사를 통한 Burn-in 시험을 실시해 초기 고장을 줄여나가야 한다.
2. 우발고장기간
제품에 가해지는 부하가 높거나 과도한 사용 및 오용, 초기고장기간에 실행한 시험 등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우발고장기간의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품 사용의 극한상황을 대비한 설계, 안전 계수(Safety Margin)나 Derating을 고려한 설계 등이 필요하며 주로 로트의 합격, 불합격 판정을 수행하는 샘플링 검사가 적용된다.
3. 마모고장기간
제품의 부식, 산화, 마모, 퇴화, 노화 등에 의해 일어나는 고장으로 표본 추출을 실행하여 마모 고장이 일어나는 지점이나 제품의 퇴역시기를 정하는 내구력 시험이 요구된다. 일정 간격으로 오버홀이나 부품 교체 등의 예방적 보전을 행하면 고장률이 어느 정도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자격증 >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계위험 방지기술 요점 정리 1 (1) | 2020.03.16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요점 정리 3 (0) | 2020.03.15 |
산업안전기사 필기 자료,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개념 정리 1 (4) | 2020.03.11 |
산업안전기사 필기, 안전관리론 개념 정리 2 (0) | 2020.03.10 |
산업안전기사 필기, 안전관리론 개념 정리 1 (5) | 2020.03.10 |